본문 바로가기
LOL리그덕질/해외리그

완전히 바뀐 LEC(유로피언 챔피언십) 롤 유럽리그 진행 방식은 어떨까?

by 다섯마리오리 2023. 2. 20.

 롤챔스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롤드컵에도 자연히 관심이 가고 이에 참가하는 리그들에도 관심을 갖는다. 특히 메이저 지역이라면 더욱 관심이 간다. 그런데 LEC의 리그 진행방식은 국내 LCK와는 조금 다르게 진행되어 왔는데 이번 2023년 완전히 그 포맷이 바뀌어 버렸다.

 

[ 새로운 출발을 하는 LEC 롤 유럽 리그 ]

3개의 스플릿의 반복과 최종 파이널 시즌을 통해 롤드컵 진출팀을 가리는 LEC ( 출처 : LEC )

일단 한 시즌을 윈터, 스프링, 서머 3개의 스플릿으로 구분하였다. 여기서 1주 차부터 3주 차까지는 단판제로 진행된다. 그래서 그런지 LEC에서는 다양한 픽과 전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상위 8팀을 뽑게 된다. 10팀 중 8팀을 뽑는다는 것은 꼴찌만 하지 말자라는 마음으로 플레이를 할 수 있어 좀 더 다양한 밴픽을 실험해 볼 수 있는 여건이 된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더 다양한 픽과 전략으로 재미가 있다. 롤챔스에서 보기 힘든 탑 가렌, 울라프, 클레드, 카서스 정글 등 정말 다양하다.

그룹스테이지에서 두팀씩을 가려낸다. ( 출처 : LEC )

 4주차부터 5주 차에는 상위 8팀의 그룹스테이지를 진행한다. 롤드컵의 그룹 스테이지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편하다. 두 그룹에 각 4팀이 속하고 이중 2팀씩 4팀이 다시 플레이 오프에 올라간다.

각 스플릿 우승팀을 가려내고 이 중 점수가 가장 높은 6팀이 붙는다. ( 출처 : LEC )

 5주차부터 6주 차에는 4팀이 플레이오프를 더블 엘리미네이션의 방식으로 진행한다.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은 선발전을 치른 후 최종 결승을 치르는 방식을 말한다. 일단 1라운드에서 각 그룹 스테이지 조 승리팀끼리 경기를 진행한다. 그리고 2등으로 올라온 팀들끼리 경기를 진행한다. 2등으로 올라온 팀들끼리 경기에서 진 팀은 그대로 최종순위 4위로 확정된다.

그리고 2라운드에서는 1등 팀끼리 경기에서 패배한 팀과 2등 팀끼리 경기에서 승리한 팀이 대결하고 여기서 패배한 팀은 3등으로 확정하고 승리한 팀은 최종 결승에 진출하게 된다. 복잡해보이지만 그룹스테이지에서는 각 그룹에서 이기든 지든 2등만 하면 다시 한번 기회가 생기고, 플레이오프에서는 토너먼트로 이해하면 편하다. 

 

[ 2023년 새롭게 출발하는 EMEA LEC ]

 이번 2023년 유럽리그는 명칭을 EMEA로 변경하였다. 이뉴는 기존에 LCL이라는 독립국가연합이 폐지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LCL의 관할지역인 CIS(독립국가연합)가 편입되었다. 우리에게 갱맘 덕분에 익숙한 TCL리그도 폐지되면서 LEC의 하위리그로 들어가고, 중동까지 포함되면서 LEC는 규모가 매우 커지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통폐합을 보고 있으면 망해가는 게임의 서버통합의 느낌 같다는 생각도 든다. 향유하는 인원이 적어지는 지역이 많아지는 신호라는 생각도 들기 때문이다. 과연 LOL 리그가 스타크래프트처럼 역사의 뒤안길을 걷는다면 그다음 세대의 게임 리그는 무엇이 될지 궁금하다. 물론 망하기 전까지는 계속 응원하면서 즐길 것이다.

 

댓글